참된 부요함
누가복음 12장 13~21절
무리 중에 한 사람이 이르되 선생님 내 형을 명하여 유산을 나와 나누게 하소서 하니 / 이르시되 이 사람아 누가 나를 너희의 재판장이나 물건 나누는 자로 세웠느냐 하시고 / 그들에게 이르시되 삼가 모든 탐심을 물리치라 사람의 생명이 그 소유의 넉넉한 데 있지 아니하니라 하시고 / 또 비유로 그들에게 말하여 이르시되 한 부자가 그 밭에 소출이 풍성하매 / 심중에 생각하여 이르되 내가 곡식 쌓아 둘 곳이 없으니 어찌할까 하고 / 또 이르되 내가 이렇게 하리라 내 곳간을 헐고 더 크게 짓고 내 모든 곡식과 물건을 거기 쌓아 두리라 / 또 내가 내 영혼에게 이르되 영혼아 여러 해 쓸 물건을 많이 쌓아 두었으니 평안히 쉬고 먹고 마시고 즐거워하자 하리라 하되 / 하나님은 이르시되 어리석은 자여 오늘 밤에 네 영혼을 도로 찾으리니 그러면 네 준비한 것이 누구의 것이 되겠느냐 하셨으니 / 자기를 위하여 재물을 쌓아 두고 하나님께 대하여 부요하지 못한 자가 이와 같으니라
성도 여러분! 세상에는 부자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런데 그 부자의 기준도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때로는 재산이 많은 자들을 가리켜 부자라고 합니다. 그런데 때로는 가진 것이 없어 가난한 것 같은데도 그런 자를 향하여 “저 사람은 부자다”라고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처럼 부자를 판단하는 기준도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이것을 보면 “정말 부자가 누구인가?”라는 질문에 정확한 대답을 하기에는 그리 쉽지 않다는 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오늘 우리가 읽은 성경에도 한 사람의 부자가 나옵니다. 이 사람은 많은 농사를 짓는 사람이었습니다. 그리고 그가 짓는 농토에서 많은 소출이 생산되어 자기 혼자서는 감당할 수 없는 사람이었습니다. 오늘 본문에 나타난 대로 표현하면 그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창고로는 그 곡식들을 다 저장할 수 없을 만큼 많은 곡식을 생산했습니다. 그래서 그는 다시 창고를 크게 지을 것을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그 곡식을 소비하면서 즐기는 일을 계획하고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이 사람이야말로 세상적으로는 정말 부자라고 할 수 있는 사람입니다. 이 사람에게는 아무런 걱정거리가 없는 사람입니다. 이 사람은 오늘날로 말하며 여가 생활을 하는데 조금도 어려움이 없는 사람입니다.
그런데 오늘 성경은 우리에게 또 다른 하나의 사실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성경은 이 사람을 가리켜 결코 부자라고 칭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오히려 어리석은 자요, 가난한 자라고 부르고 있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성경이 제시하는 부자의 기준은 우리가 세상에서 말하는 기준과는 뭔가 다르다고 알려주는 것 아닙니까? 그렇습니다. 성경에서는 부자의 기준이 사람 편에 있지 않다는 것을 말씀해 주고 있습니다. 사람이 아무리 많은 것을 소유하고 있다고 할지라도 하나님이 인정하지 않으면 그 사람은 결코 부자라고 할 수가 없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정말 부자는 누구일까요? 어떤 사람이 하나님 앞에서 부자라고 칭함을 받을 수가 있는 자일까요? 이 시간 본문의 내용을 중심으로 해서 『참된 부요함』 또는 『하나님께 대하여 부요한 자』라는 제목으로 말씀을 나누면서 하나님의 음성을 듣기를 원합니다.
Ⅰ.재물의 부요함이 생명의 부요함이 아닙니다.
이 말은 아무리 재물을 많이 가지고 있는 자라 할지라도 그의 생명이 짧으면 그 사람은 부자라고 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사람은 재물보다는 생명에 대해서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것입니다.
본문 13절 이하에 보면 어떤 사람이 예수님께 나아왔습니다. 그리고 예수님께 부탁했는데, 그 내용은 그 사람의 아버지에게 재산이 있었는데 아버지가 죽은 후에 형이 그 모든 재산을 혼자 다 차지해 버렸습니다. 그래서 그 사람이 예수님께 나아와 형을 명하여 아버지의 유산을 나누도록 해달라고 했습니다.
당시의 관습으로는 이런 분쟁이 생기면 그 사건을 랍비에게 가지고 가서 랍비에게 조언을 듣고 일을 해결했습니다. 그래서 이 사람은 이 일을 예수님께 가지고 나와서 예수님께서 이 일을 해결해 달라고 한 것입니다. 그때 예수님은 그 사람을 책망하시고 나서 무리를 향하여 말씀하셨습니다. 오늘 본문 15절에 “그들에게 이르시되 삼가 모든 탐심을 물리치라 사람의 생명이 그 소유의 넉넉한 데 있지 아니하니라”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즉 사람이 관심을 가져야 되는 가장 중요한 것은 생명이지 재물의 소유가 아니라는 말입니다. 즉 참된 부자는 생명이 부요한 자라는 말입니다. 왜냐하면 재물은 영원할 수가 없는 것입니다.
사람이 살아가는데 있어 없어서는 안 되는 것이 재물입니다. 재물은 인간이 인간답게 살아가는데 있어서 아주 유용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 재물은 그것 자체가 목적이 될 수는 없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재물은 그 필요성에 있어서 유한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재물은 이 땅에서만 필요 있는 것이요, 우리가 이 세상을 떠날 때는 단 하나의 재물도 가지고 갈 수가 없는 것입니다. 아무리 뛰어난 사람이라 할지라도 자기가 평생 벌어 놓은 재물을 하나도 가지고 간 사람이 없습니다. 아무리 권력이 높아서 천하를 호령하는 사람도 죽음이 찾아오면 자기가 가지고 있는 재물이 아무런 도움을 주지 못하는 것입니다. 이 재물은 이 세상이 멸망할 때 같이 멸망할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그러나 생명은 영원한 것입니다. 우리에게 한번 주어진 생명은 이 땅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우리의 생명은 이 땅에서 사는 동안만 주어진 것이 아니라 우리가 이 땅에서의 삶을 마친 후에도 계속 존재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이 땅에 살아가는 동안 하나님이 주신 생명을 영위하다가 하나님이 부르시는 날에는 우리의 생명이 하나님 앞에 가서 심판을 받고 영원히 살아야 하는 것입니다. 신자는 천국에서 영원히 살게 되고 불신자는 영원한 지옥에서 살게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생명에 대한 관심을 더 많이 가져야 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오늘 본문의 부자는 자기의 생명보다는 재물에 대해 더 큰 관심이 있습니다. 그는 자기의 생명이 다 끝나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사실을 알지 못한 채 자신의 재물로 자신의 배를 채우며 이 땅에서 어찌하면 평안히 살 수 있을까를 연구하는 자였습니다. 이 사람은 재산을 많이 쌓아두면 자신의 생명이 보장되는 줄로 알고 있었습니다. 따라서 이 사람은 자기가 가지고 있는 재물이 충분함에도 불구하고 그 재물에 만족함을 얻지 못하고 더 많은 재물을 위한 생각이 가득 차 있었습니다.
이것이 바로 탐심입니다. 자기가 가지고 있는 것으로 만족하지 못하고 더 많이 가지려는 마음이 바로 탐심인 것입니다. 그렇기에 이 사람은 결국 어리석은 자라고 인정될 수밖에 없었던 것입니다. 탐심으로 가득 차 있는 사람은 어리석은 자요 결국 책망으로 끝나게 되어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주님은 우리에게 “삼가 모든 탐심을 물리치라”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성도 여러분! 오늘날에도 이러한 사람들이 우리 주위에 많이 있습니다. 저들은 재물을 위해서 사는 사람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말로는 그렇지 않다고 할지라도 저들의 인생 목적은 오직 재물을 모아두고 쌓아놓고 사는 것입니다. 그러나 성경은 이러한 자들을 가리켜 “어리석은 자여”라고 칭합니다. 이는 인생의 참된 목적을 잘못 알고 살아가는 자이기 때문입니다. 아무리 많은 것을 쌓아놓고 그것을 누리며 산다고 해도 인생의 참 목적을 모르고 살아가는 사람은 진정으로 어리석은 자일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따라서 우리들은 이 땅에서 살아가는데 있어서 잠시동안 필요한 것보다는 더 영원하고, 그 근본적이고, 더 중요한 우리의 생명에 대하여 더 많고 깊은 관심을 가져야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 문제의 해결은 오직 예수 그리스도뿐이라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하는 것입니다.
Ⅱ.육신의 안락이 영혼의 안락이 아닙니다.
본문 16절 이하에 보면 예수님은 한 비유를 들어 말씀하시고 있습니다. 이 비유의 주인공인 부자는 자기의 육신을 위하여 많은 재물을 쌓았습니다. 그런데 이 부자에게 큰 일이 생겼습니다. 그것은 이번 해에 농사가 잘되어서 지난해보다 많은 곡식이 생산되었습니다. 그래서 자신이 가지고 있는 창고로는 감당할 수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그는 창고를 다시 크게 짓기로 작정했습니다. 그리고 그 창고에 많은 곡식을 쌓아놓고 자기 스스로에게 이르기를 “영혼아 여러 해 쓸 물건을 많이 쌓아두었으니 평안히 쉬고 먹고 마시고 즐거워하자”라고 했습니다. 이 사람은 비록 자신의 영혼을 들어서 말하고 있지만 사실은 그는 오직 육신의 안락을 추구하는 사람이었습니다. 그런데 하나님은 이 사람을 향하여 어리석은 사람이라고 하셨습니다.
사람에게는 “욕심”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 세상을 살아가는 그 어느 누구도 욕심이 없는 사람은 없습니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그 욕심이 무엇을 위한 욕심인가 하는 것입니다. 우리에게도 선한 욕심은 있어야 합니다. 주님을 위한 욕심, 교회를 위한 욕심이 우리에게는 필요합니다. 또한 나의 영혼을 위한 욕심도 우리에게는 필요합니다. 영혼이 잘되기 위한 욕심은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일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자신의 육신을 위한 욕심은 결코 유익이 없는 욕심이라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이 욕심은 우리의 육신만을 위한 것이지 결코 우리의 영혼에는 유익이 없기 때문입니다. 또한 육신을 위한 욕심에는 한이 없습니다.
이 땅에 살아가는 그 어떤 사람도 이 세상에서 만족을 누릴 수는 없습니다. 우리는 이 땅에서 아무리 많은 것을 소유한다고 할지라도 그 소유한 것 이상으로 더 큰 부족을 느낄 수밖에 없는 존재들입니다. 인간은 영적인 존재입니다. 따라서 육적인 것으로는 도저히 채울 수 없는 공간을 가지고 살아가는 존재입니다. 그런데도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영적인 공허함을 육적인 것으로 채우기 위하여 몸부림치고 살아갑니다. 그러나 그들에게는 만족이라는 것을 찾아볼 수가 없습니다. 결국 그들은 이 만족을 얻기 위해 몸부림치다가 사라지고 마는 것입니다.
그러나 영혼의 중요함을 아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습니다. 자신의 육적인 일이 조금 손해를 본다고 할지라도 영혼의 손해를 보는 일은 행치 않기 위해 몸부림치며 살아가는 것입니다. 자신의 영혼을 위해서는 비록 육신의 것들이 손해를 입는다고 할지라도 그 손해를 기꺼이 당하는 것입니다. 이 사람은 육신의 안락보다는 영혼의 안락을 추구하는 자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이런 사람이야말로 참으로 부요한 자요, 지혜로운 사람이기 때문입니다.
본문의 어리석은 부자는 자신의 육신이 안락을 누린다면 그것이 바로 자기 영혼의 안락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자신의 재물이 풍부하면 자기의 영혼도 풍성한 삶을 누릴 것이라고 생각했던 것입니다. 하지만 성경은 이러한 생각을 완전하게 부인하고 있습니다. 오히려 인간의 재물이 영혼의 안락과 풍성함에 거침돌이 되는 경우가 많음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것은 성경의 여러 곳에서, 그리고 교회의 역사 속에서 자주 증거되고 있는 내용입니다.
여호수아 7장에 등장하는 아간은 여리고 성의 아주 적은 재물에 눈이 어두워짐으로 인해 그와 그의 모든 가족이 하루아침에 멸망을 당하는 비참한 지경에 이르고야 말았습니다. 열왕기하 5장에 보면 엘리사의 사환은 나아만 장군이 가지고 온 외투와 은에 눈이 멀어서 그것을 취했다가 문둥병에 걸리고야 말았습니다. 예수님의 열두 제자 중 하나였던 가룟 유다는 은 30에 눈이 멀어 예수님을 팔고 배신자의 대명사로 역사에 그 이름을 남기고야 말았습니다. 초대 예루살렘 교회의 아나니아와 삽비라 부부는 자기의 밭을 판 값 중 얼마를 감추었다가 하루에 같이 멸망을 당하고 말았습니다. 이처럼 재물로 인해 오히려 그 인생이 불행해지고 그의 영혼이 멸망으로 끝나게 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성도 여러분! 성도는 육신의 안락이 영혼의 안락을 보장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기억해야 합니다. 따라서 우리는 우리의 육신보다는 우리의 영원한 생명을 우선하고 우리의 생명이 주님 안에서 영원한 안식을 누릴 것을 소망하며, 우리의 영혼의 안락함을 위해서 살아가야 할 것입니다.
Ⅲ.재물과 생명의 주인은 하나님이심을 알아야 합니다.
본문 20, 21절에 “하나님은 이르시되 어리석은 자여 오늘 밤에 네 영혼을 도로 찾으리니 그러면 네 준비한 것이 누구의 것이 되겠느냐 하셨으니 / 자기를 위하여 재물을 쌓아 두고 하나님께 대하여 부요하지 못한 자가 이와 같으니라”라고 하셨습니다.
이 어리석은 부자는 자신이 모든 것의 주인인 줄로 알고 있었습니다. 그는 자기가 가지고 있는 재물이 자기의 것인 줄 알고 있었습니다. 그는 자기의 생명이 자기의 것인 줄로 알았습니다. 그래서 그는 자신을 위해서만 살았던 것입니다.
그런데 하나님은 오늘 그런 부자를 어리석은 사람이라고 비웃고 계시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 모든 것의 주인이 바로 하나님 자신이시기 때문입니다.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재물의 주인이 바로 하나님이십니다. 하나님이 말씀하시기를 “은도 내 것이요 금도 내 것이니라 만군의 여호와의 말이니라”라고 하셨습니다(학2:8). 다만 인간은 하나님께서 맡기신 동안만 그것을 관리하며 사용할 뿐입니다. 언젠가 하나님께서 도로 찾으시면 인간은 아무런 주장도 없이 하나님께 도로 반환해야 하는 것입니다. 이처럼 모든 것의 사실적인 주인은 바로 하나님이신데 하나님의 것을 가지고 자기 것처럼 주장하고 있으니, 하나님이 이런 모습을 보고 계실 때 얼마나 한심스럽겠습니까?
또한 인간의 영혼도 그 주인이 하나님이십니다. 본문에서도 하나님은 “오늘 밤에 네 영혼을 도로 찾으리니”라고 말씀하십니다. 태초에 하나님께서 아담에게 생명을 부여하셨습니다. 그 이후에도 생명만큼은 오직 하나님의 주관 아래에 두셨습니다. 그래서 하나님은 사람이 사람의 생명을 포함한 모든 피조물의 생명을 함부로 대하는 것을 경고하셨습니다. 하나님이 구약시대의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생명의 상징인 피는 결코 먹지 말라고 하셨고, 사람이 사람의 피를 흘리지 말도록 명령하셨습니다. 오직 하나님만이 인간의 생명을 주장하시는 것입니다. 하나님만이 인간에게 생명을 부여하십니다. 그리고 언제든지 하나님께서 우리의 생명을 찾으시면 우리의 생명은 그 주인이신 하나님께로 갈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그런데 본문에서 하나님은 하나님의 것을 가지고 자기 것처럼 여기고 있는 어리석은 부자에게 내가 오늘 밤 너의 영혼을 다시 찾겠다고 하셨습니다. 하나님이 하나님의 것을 다시 불러들이시겠다는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이 땅에 잔뜩 쌓아둔 수많은 재물이 누구의 것이 되겠느냐고 하십니다. 결국 그 재물을 모으는 일에 주력한 어리석은 부자는 자기가 그토록 열심히 모아 놓았건만 하나도 써보지 못하고 다른 사람만 좋은 일을 하고만 것입니다.
성도 여러분! 오늘 본문에서 마땅히 등장해야 하는데 찾을 수 없는 표현이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감사”입니다. 본문에 등장하는 이 부자가 자신에게 이루어진 모든 일에 대해서 하나님께 감사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는 자신이 부자가 됨에 있어서 하나님은 그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가 없습니다. 자신의 모든 것이 하나님께로부터 왔음을 알지 못하고 있습니다. 자신을 포함한 자신이 누리는 모든 것의 주인이 하나님이심을 알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하나님을 주인으로 알지 못하기 때문에 그는 감사할 줄 모릅니다. 이는 그의 삶에서 하나님을 전혀 의식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사람은 결코 감사할 줄 모릅니다.
정말 지혜로운 사람, 참된 부자는 하나님의 것을 하나님의 것으로 인정하는 사람입니다. 즉 재물과 생명을 하나님께 맡기고 살아가는 자가 바로 참된 부요한 자요, 지혜로운 사람입니다. 사람이 주인으로 행세할 수 없는 것을 가지고 주인 행세하다가는 실패할 수밖에 없기에 그 일을 하나님의 소관에 맡기고 자신은 하나님 앞에서 청지기적인 삶을 살아가는 자라야말로 참으로 지혜로운 자인 것입니다.
종이 주인의 것을 가지고 자기 것처럼 행세하면 결국은 주인으로부터 책망을 당하게 됩니다. 주인의 것은 철저하게 주인의 것으로 돌려야 합니다. 그것이 종의 기본적인 자세입니다. 다만 주인이 자기에게 맡기 동안은 그것을 잘 관리하며 결국은 주인에게 이익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하는 것입니다. 주인의 것에 해를 입히는 종은 결국 주인의 책망만 듣게 되는 것입니다.
사랑하는 광성의 성도 여러분!
오늘 우리는 누가 정말 부자인가라는 질문을 들었습니다. 참된 부자는 재물이 많은 사람이 아닙니다. 참된 부자는 육신의 안락함을 누리는 자가 아닙니다. 오직 하나님의 것을 하나님의 것으로 인정하고 하나님 앞에서 청지기로서의 삶을 살아가는 자가 부자인 것입니다.
오늘날 우리는 재물이 하나님보다 더 중요한 시대에 살아가고 있습니다. 황금만능주의가 팽배한 세상을 살아가는 것입니다. 그렇다고 하나님의 백성이 우리마저도 그렇게 살 수는 없는 것 아닙니까? 우리는 그들과는 무엇인가 달라야 합니다.
재물보다는 생명에 관심을 가지고 살아야 합니다.
육신의 안락함보다 영혼의 문제를 생각하며 살아야 합니다.
세상을 향하여 부자가 되기보다는 하나님께 대하여 부요한 자가 되어야 합니다.
나아가 우리는 나와 내가 누리는 모든 것의 진정한 주인은 오직 하나님이심을 믿고 고백하며 그분께 감사하는 삶을 살아야 합니다.
이것이 바로 참된 부요함을 누리는 자인 것입니다. 이런 자가 바로 참된 행복을 누리는 자인 것입니다. 이 시간 이 말씀을 듣는 우리 광성의 모든 성도들에게 이러한 은혜가 충만하기를 주님의 이름으로 축원합니다.